1. IT 인프라 이해
※ IT 인프라란?
네트워크, 서버, 데이터베이스, 정보보안,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기반시설 등
IT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 및 구조
[K-마켓 IT 인프라 구성도]
[IT 인프라의 주요 구성요소]
IT 인프라의 구성요소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등으로 구분
- 하드웨어 : 눈에 보이는 물리적 장비
- PC, 모니터, 하드디스크, CPU, MEMORY, 서버, 스토리지, 라우터, 스위치 등
- 소프트웨어 : 눈에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
- OS (Windows, Linux 등), Database, Microsoft Office, Photoshop 등
- 네트워크 : 컴퓨터 같은 장비들이 그물망처럼 연결된 형태 또는 장비
- 공유기(Router), 스위치, 방화벽, 케이블 등
※ 기업 IT 인프라 - 데이터센터
→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와 같은 기업의 IT인프라 구성 요소들이 모여 있는 시설
[IT 인프라 유형]
IT 인프라는 크게 기존 인프라(On-Premise)와 클라우드 인프라로 구분
- 온 프레미스(On–Premise)
-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을 기업 자체적으로 보유하여 운영하는 방식
-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 이전까지 사용하던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인프라 유형
- 즉, 기업이 데이터센터를 직접 만들어 운영하는 방식
- 클라우드
- 퍼블릭 클라우드 (Public Cloud)
-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업체(CSP, Cloud Service Provider)에게
인프라에 필요한 자원들을 대여하여 사용하는 방식 - CSP 예: AWS, Azure, GCP, KT 클라우드, 네이버 클라우드
-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업체(CSP, Cloud Service Provider)에게
- 프라이빗 클라우드 (Private Cloud)
- 기업이 직접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, 이를 기업내부에서 활용, 계열사에 공개
- 특정 기업, 특정 사용자만 사용하는 방식
- 서비스 자원과 데이터는 기업의 데이터센터에 저장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(Hybrid Cloud)
- 기존 On-premise 에 구성되어 있는 인프라와 Public Cloud를 혼용하여 함께 사용하는 방식
- 온 프레미스(프라이빗 클라우드) + 퍼블릭 클라우드
- 멀티클라우드 (Multi Cloud)
-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
- AWS + Azure, AWS + KT
- 하나의 CSP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사용
- 퍼블릭 클라우드 (Public Cloud)
※ IT 인프라 구성도란?
- IT 인프라 구성 등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다이어그램 또는 구성도
- 시스템의 배치 연결관계를 아이콘, 선으로 구조화
2. 스위치 네트워크 구성
Unit 1. 네트워크 이해
※ 네트워크
컴퓨터 같은 노드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형태
[네트워크의 종류]
- PAN (Personal Area Network): 가장 작은 규모
- LAN (Local Area Network): 근거리 영역
- MAN (Metropolitan Area Network): 대도시 영역
- WAN (Wide Area Network): 광대역
[네트워크의 구성요소]
- 전송 단말기(노드)
- 정보를 주고 받는 장치
- PC, 휴대폰, 노트북, 서버 등
- 전송 매체
-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
- 유선케이블: 동축케이블, 광케이블, LAN 케이블 등
- 무선기술: Wifi, 5G, LTE, 블루투스 등
- 전송 프로토콜
- 전송 단말기간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규칙, 약속, 규약
- 네트워크 장비
-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목적지를 찾고 길을 결정하는 장비 (허브, 스위치, 라우터 등)
※ 무선 통신 기술
- 5G, LTE 등(전화망)
- Wi-Fi (인터넷망)
[OSI 7계층 모델]
- ISO(국제표준화기구)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
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한 모델 -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크게 구분하여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정의
※ 계층별 기능
[계층별 데이터 형태]
[TCP/IP 4계층 모델]
- OSI 7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업무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 된 모형
※ 계층별 기능
※ 헤더란?
-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때, 계층 이동별로 필요한 정보
- 목적지 정보, 출발지 정보, 에러 체크 등
- 예시
- HTTP 헤더, TCP 헤더, IP 헤더, 이더넷 헤더 - 캡슐화: 헤더 하나하나 붙이는 것
- 역캡슐화: 헤더 하나하나 제거하는 것
[헤더 - Sender (Encapsulation)]
[헤더 - Receiver (Decapsulation)]
※ 데이터 캡슐화 및 역캡슐화
[1계층 - 물리 계층]
- 전기, 기계적 특성을 이용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
- 0,1 비트로 데이터 구성
- On, Off 의 전기적 신호 상태로 구성
- 대표적인 장비: 리피터(증폭기), 허브
[2계층 - 데이터링크 계층]
- MAC 주소를 통해 통신
- 대표적인 프로토콜: Ethernet
-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: 스위치
[3계층 - 네트워크 계층]
- IP 주소를 통해 통신
- 대표적인 프로토콜: IP
-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: 라우터, 공유기
[4계층 - 전송 계층]
- 포트를 통해 통신
- 대표적인 프로토콜: TCP, UDP
-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: L4 스위치
[7계층 - 응용프로그램 계층]
- 브라우저나 메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통신
- 대표적인 프로토콜: FTP, SMTP, HTTP
-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: L7 스위치
Unit 2. 스위치 네트워크
※ 스위치란?
- MAC 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하는 2계층 장비
- 스위칭: 노드와 노드간 연결을 중개해주는 것
[스위치의 동작 과정]
- MAC 주소 테이블 생성
- 스위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의 MAC 주소를 학습하여, 이를 테이블에 저장
-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, 출발지의 MAC 주소를 읽어 테이블에 등록
- 목적지 MAC 주소 확인
-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에서 목적지 MAC 주소 확인
- 이 MAC 주소가 테이블에 있다면, 해당 포트로 데이터 전송
- 데이터 전송 (Unicast)
- 목적지 MAC 주소가 특정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면, 해당 포트로만 데이터 전송
-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,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
- 브로드캐스트 (Broadcast)
- 만약 목적지 MAC 주소가 테이블에 없다면, 네트워크의 모든 포트로 데이터 전송
- 이를 통해 새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을 때도 통신 가능
- MAC 주소 테이블 업데이트
- 시간이 지나면 스위치는 오래된 MAC 주소를 삭제하고,
새로운 MAC 주소를 학습하여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.
- 시간이 지나면 스위치는 오래된 MAC 주소를 삭제하고,
[MAC Address 와 Ethernet]
- Mac Address
- 네트워크 상의 장비 구분을 위하여 각 장비의 인터페이스 마다 할당된 주소
- MAC 주소 형식 (48 비트): D0-3C-1F-9C-FA-F9
- MAC 주소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의 제조사가 할당하여 하드웨어 저장
- Ethernet
- 통신하기위한 일련의 기술 및 약속 중 하나로,
MAC 기반으로 통신 하는 방법에 관한 2계층 프로토콜
- 통신하기위한 일련의 기술 및 약속 중 하나로,
[MAC Address Tables]
- 스위치가 스위칭 하기 위해 관리하는 테이블
- 예시
'에이블스쿨 6기 DX 트랙 > 일일 복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T 인프라 - DAY. 04 (0) | 2024.11.28 |
---|---|
IT 인프라 - DAY. 03 (0) | 2024.11.27 |
딥러닝 심화: Object Detection (0) | 2024.11.08 |
딥러닝 2일차 (0) | 2024.11.06 |
딥러닝 4일차 (0) | 2024.11.04 |